오피니언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오피니언] ‘행복교육’, 우리 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김철영 목사/한국기독교공공정책협의회 사무총장, 세계성시화운동본부 사무총장
 
김철영   기사입력  2023/07/24 [14:45]

 

▲ 필리핀 네그로스 돈살바도르 산골마을의 초등학교 분교에 아이들이 학교 담장 위에 앉아 있다.  © 뉴스파워

 

지난 7월 18일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1학년 담임인 초임 여교사가 한 학부모의 갑질로 힘들어하다가 자신이 재직한 학교에서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언론에 보도되었다. 

 

우리 사회가 큰 충격에 휩싸이면서 정치권과 교육계에서는 다시는 이러한 안타까운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획기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필리핀 네그로스 바콜로드 재래시장  © 뉴스파워

 

학생인권조례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부터 교사인권조례를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까지 다양한 방안을 내놓고 있다.

 

선생님은 존경받고, 학생들은 사랑받는 교육공동체로 거듭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하지만, 규칙을 새로 마련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바른 가치관 함양이 우선이다.

▲ 필리핀의 서민 대중교통 수단 트라이스클     ©뉴스파워

 

필자는 서이초등학교 교사의 안타까운 소식을 필리핀에서 들었다.

 

선교사역을 위해 마닐라에서 비행기로 한 시간 남짓한 거리에 소재한 바콜로드라는 섬의 한 선교센터에서 열린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캠프에 참석하고 있었다. 

 

1991년 7월과 8월 한국대학생선교회(C.C.C.) 대학생 3,000여 명이 마닐라에서 ‘뉴라이프 2000 프로젝트’에 참가하기 위해 처음 필리핀을 방문했을 때의 모습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어 보였다.

▲ 필리핀 네그로스 돈살바도로 초등학교 옆 마을 공터에서 농구하고 있는 아이들     ©뉴스파워

 

훅 불면 날아갈 것 같은 흰쌀밥에 한두 가지 반찬, 사람들의 발이 되어주는 트라이스클(자전거에 두 사람을 태울 수 있게 개조됨)과 찌프니(필리핀의 대중 교통수단으로 십여 명이 탈 수 있는 지붕이 없는 트럭 형태), 재래시장의 모습, 바랑가이(마을) 공터에서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웃통을 벗고 한데 어울려 농구를 하는 모습까지 그대로였다. 

▲ 필리핀 네그로스 바콜로드 재래시장     ©뉴스파워

 

무엇보다 아이들의 순박함과 어른들의 열린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여전했다. 누구에게든지 차별하거나 배척하지 않고 따뜻한 마음으로 다가서는 모습과 낡은 농구공 하나만 있으면 하나 되어 즐겁게 운동하는 모습은 부럽기까지 했다.

 

한편으로는 어려서부터 몇 개의 학원을 다니면서 더불어 공동체성보다는 경쟁사회를 먼저 배우는 우리나라 아이들이 안쓰럽게 느껴졌다.

▲ 필리핀 네그로스 돈살바도로 초등학교 분교 담벼락에 쓰여 있는 글귀  © 뉴스파워

 

마지막 날, 바콜로드 시내에서 승용차로 3시간 거리에 있는 돈살바도르라고 하는 산간마을에 있는 수십 명의 공부하는 아주 작은 초등학교 분교를 방문했다. 

 

아이들은 운동장 담벼락 위에 서너 명씩 앉아 있었다. 그런데 아이들이 앉아 있는 담벼락에 쓰여 있는 글귀들이 눈에 쏘옥 들어왔다.

▲ 필리핀 네그로스 돈살바도로 초등학교 분교아이들  © 뉴스파워

 

 “Do what is right not what is easy”(쉬운 일이 아니라 옳은 일을 하십시오.)

 

“when you focus on good the good gets better”(좋은 것에 집중하면 좋은 것이 더 좋아집니다.)

 

 “today a Reader, Tomorrow a Leader”(오늘은 독자(讀者), 내일은 리더)

▲ 필리핀 네그로스 돈살바도로 초등학교 분교 담벼락에 쓰여 있는 글귀  © 뉴스파워

 

우리나라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친구들을 존중하고 배려하고, 차별하지 않고 협력하는 더불어 공동체 정신을 함양하는 것을 최우선의 교육의 목표로 삼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과목 성적과 입시 위주의 과열 경쟁 교육을 지양해야 한다.

▲ 필리핀 네그로스 돈살바도로 초등학교 분교 교실 모습  © 뉴스파워

 

필리핀 국민의 평균 연령은 24세이고, 평균 임금은 적게는 30만 원 선이라고 한다. 평균 출산율은 2.78명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출산율 0.78명보다 훨씬 높다.

 

임금은 우리보다 훨씬 낮지만 우리 국민보다 행복지수는 월등히 높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이고, 갈등지수도 위험수위에 다달았다. 

▲ 필리핀 네그로스 돈살바도로 초등학교 분교 담벼락에 쓰여 있는 글귀  © 뉴스파워

 

지금까지는 부의 축적과 권력 추구, ‘너 죽고 나 살자’ 식의 과도한 경쟁의식에서 벗어나 바름과 존중, 배려와 섬김으로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가치관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아이들은 부모가 못다 이룬 꿈을 성취해주는 대행자가 아니다. 학부모들은 아이 스스로의 꿈을 품고 보람 있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놓아주어야 한다.

 

‘행복 추구’의 삶, 우리나라 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행복지수가 높다는 덴마크도 행복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 학교교육도 그렇게 바뀌어야 한다. 지금이 적기(適期)다.

▲ 필리핀 네그로스 돈살바도르 산골마을의 초등학교 분교에 아이들이 학교 담장 위에 앉아 있다.     ©뉴스파워

  

 

 

▲ 김철영 목사     ©뉴스파워

*김철영 목사는 한국기독교공공정책협의회 사무총장, 세계성시화운동본부 사무총장, 한국교계국회평신도5단체협의회 상임 사무총장으로 한국교회 사회책임사역에 앞장서왔다. 특히 지난 2012년 4월 제19대 국회의원 총선거 때부터 대통령선거, 지방선거 때마다 여야 정당과 대선후보들에게 기독교 공공정책을 제안하고 답변을 받아 추진해왔다. 또한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지방선거 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협력으로 투표참여 및 공명선거 캠페인을 전개했다. 또한 주요 이슈에 대한 성명을 발표해 기독교계의 입장을 전했다. 특히 지난 2019년 6월 최초로 생명존중의날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할 것을 제안하고 추진해왔다. 2002월드컵조직위원장 표창과 월드컵 기장 수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 제11회 유권자의날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23/07/24 [14:45]   ⓒ newspower
 
행복교육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 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