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핵심 기관인 대한기독교서회의 사유화 및 재정비리 의혹이 제기됐다.
재단법인 대한기독교서회(사장:서진한, 이하 서회)의 사유화 음모 및 재정비리 의혹을 고발하는 기자회견이 재)대한기독교서회 공공성 회복을 위한 에큐메니컬 대책위원회(이하:대책위, 공동위원장 정진우, 박경양 목사) 주최로 24일 오후 1시 30분 기독교대한감리회(감독회장:이철) 본부 16층 회의실에서 열렸다.
▲ 재)대한기독교서회 공공성 회복을 위한 에큐메니컬 대책위원회, 대한 기독교서회의 사유화 음모 및 재정비리 의혹 고발 © 뉴스파워
|
박경양 목사, 정진우 목사 등 대책위는 기자회견에서 한국교회 연합기관인 대한기독교서회를 현재 사장인 서진한 사장 및 회원대표 이사들이 조직적으로 치밀하게 사유화를 시도해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한 동시에 서 사장이 회사 자금을 개인의 사리와 사욕을 위해 횡령 및 배임했다고 주장하며 서 사장과 이번 사태에 책임이 있는 회원대표 이사들의 즉각 사퇴를 요구했다. 이와 함께 감사를 실시하고 공공성과 투명성 보장을 위해 정관을 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 재)대한기독교서회 공공성 회복을 위한 에큐메니컬 대책위원회의 박경양 목사, 정진우 목사, 인영남 목사, 송병구 목사 © 뉴스파워
|
대책위는 대한기독교서회가 교단 파송 이사 수 축소, 회원대표 이사 수 확대 및 정년 연장과 관련된 정관 개정을 통해 단임 사장으로 끝나야 했던 서 사장이 3선을 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관 개정과 법인 해산 정족수인 이사 정수의 2/3에 육박하는 12명의 회원대표 이사를 이사장, 부이사장, 사장, 서기 이사, 회계 이사로 구성된 임역원회의 추천으로 선임했다고 비판했다.
특히 회원대표 이사 12명 중 11명을 은퇴목사로 뽑아 서 사장과 회원대표 이사들이 주도면밀하게 서회 사유화를 추진했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서회를 장악한 서 사장과 회원대표 이사들이 2023년 3월, 정년과 연임 제한이 없는 상임 이사제도를 도입해 서 사장이 사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상임이사를 겸임하는 방안의 정관개정을 추진했지만 일부 이사와 일부 회원교단의 반대로 실패했다고 주장하며 이들이 40년 이상을 한 사람이 운영 전권을 장악하고 있는 '대한성서공회'를 모델로 상정하고 상임이사제를 도입해 사유화를 추진했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다음으로 대한기독교서회가 2022년 12월 기준 135억의 부채를 갖고 있고, 서진한 사장의 재임 기간 동안 연평균 6억 원의 적자행진을 계속하고 있다며 서회의 부실경영에 관련한 의혹을 제시했다.
또한 적자 경영이 계속되는 상황 속 서 사장이 1억 5천만 원 가량의 업무추진비 및 판공비를 집행 원칙을 지키지 않은 채 사용했으며, 자신이 매월 부담해야 하는 소속 교단의 생활보장제 부담금 610만 원을 을 서회 재정으로 사용, 또한 28회에 걸쳐 3600만 원에 상당하는 상품권을 구매 후 사용처와 목적 등 근거 없이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서회는 이사회의 결의 없이 한국찬송가공회의 이사장 2인에게 각 1000만 원씩의 활동비 지급, 한국찬송가공회의 소송비용 6690만 원 대납, 이사들의 여행 및 수련회비로 1050만 원 제공, 3500만원 대여 후 회수하지 않아 한국찬송가공회에게 총 1억3300만 원을 지급했고, 서회의 명예사장에게 급여 및 판공비, 차량 운용비등을 지급했으며 전 사장 사택 임차 문제로 3억 500만 원의 회사 재정손실을 초래했다며 이는 업무상 배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앞으로 공식적으로 변호사를 선임해 다음주 내로 법적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며 여러 교단 및 교단의 총회장들이 이 문제에 대해 함께 동참해 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대한기독교서회측은 “회사의 내부 자료가 왜곡, 편집돼 언론과 교단에 전달되고 있는 것”이라며 “서회를 음해하여 총체적 위기로 몰아넣는 시도에 분노하며 이를 즉시 중단해 줄 것을 촉구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한기독교서회는 대책위의 주장에 대한 서회 측의 입장도 곧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