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4·19 혁명과 1894년 조선에서 일어난 동학농민혁명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 4.19당시 종로경찰서 사건 보고서 및 학생의 일기. 이기붕 일가의 자살 소식을 다룬 신문보도. ©
|
유네스코(UNESCO)는 1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집행이사회에서 한국이 신청한 '4·19혁명 기록물', '동학농민혁명 기록물' 2건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오드리 아줄레(Audrey Azoulay) 사무총장이 사인함으로써 최종 승인됐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는 올해 초, '4·19혁명 기록물'과 '동학농민혁명 기록물' 두 기록물에 대해 등재를 권고한 바 있다.
4·19 혁명 기록물과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자료다.
4·19 혁명 기록물은 1960년 2월 대구에서 열린 학생 집회부터 3·15 부정선거에 항의하며 4월19일에 열린 대규모 시위까지 이승만 정권을 무너뜨린 혁명의 원인과 배경, 전개 과정을 다루는 광범위한 자료다. 국가기관과 국회·정당 자료, 언론 기사, 개인 기록, 수습 조사서, 사진과 영상 등 총 1019점의 기록물로 구성됐다. 4·19 혁명 기록물은 독재에 맞서 비폭력으로 민주주의를 이룬 역사적 기록이란 의미가 있다.
4·19 혁명 기록물은 1960년대 세계 학생운동에 영향을 미친 기록유산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