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CK 이홍정 총무가 사퇴의사를 밝힌 가운데 위기의 에큐매니칼운동 대안을 위한 긴급 토론회가 30일 오후 3시 서울시 한국기독교회관 2층 조에홀에서 열렸다.
민숙희 사제(NCCK 종교간대화위원회 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회는 신경하 감독(전 감독회장), 이진 목사(교회협 재정위원장)의 인사말 후 최형묵 목사(천안살림교회), 정금교 목사(대구 누가교회) 하성웅 총무(한국기독청년협의회)의 발제 후 질의응답 및 토론을 통해 교회협의 위기 상황 해결책을 모색했다.
▲ 위기의 에큐메니칼 운동 대안을 위한 긴급토론회 열려 © 뉴스파워
|
인사말을 전한 신경하 감독은 “역사정신, 정치이식이 없는 정치인들과 친일세력이 대한민국을 좌지우지 하는것 같아 마음이 불편한데 이러한 상황일수록 교회가 기도와 지혜를 모아 위기를 헤쳐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눈 앞에 보이는 크고 작은 위기들은 NCCK가 갖고있는 정체성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하며 정의와 평화, 생명을 향한 순례는 더욱 더 강화되어야 할 것”이라며 일치와 연합, 협력을 강조했다.
다음으로 인사말을 전한 이진 목사는 “NCCK가 지금의 상황이 된 것은 가야하는 방향은 있는데 구조와 시스템이 끌어내리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하며 “오늘 이 시간이 우리가 가지고 있는 뜻, 시대를 이끌어나갈 힘을 모으는 의견들을 나누는 좋은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 이진 목사(교회협 재정위원장) © 뉴스파워
|
‘일치와 갱신을 지향하는 신학과 실천’이라는 제목으로 발제를 맡은 최형묵 목사(천안살림교회) “최근 총무 사임표명으로 위기사태가 촉발된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NCCK의 정체성, 사회적 영향력 문제 및 위기의 한 징후일 뿐이다”라고 전하며 “‘세계의 일치를 위한 교회의 일치’로 집약되는 에큐메니칼 정신과 운동의 정체성의 위기를 겪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최 목사는 “협의체의 정신은 하나의 목소리로 총의를 모으는 것을 뜻하기보다 다양한 목소리가 화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고, 협의체의 정신을 구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찾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전하며 “총무의 사임의사 표명에 대해서도 에큐메니칼 정신에 충실하면서도 지혜로운 대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다음으로 ‘풀뿌리 에큐메니즘의 활성화’라는 제목으로 발제를 맡은 정금교 목사는 “교계의 특정 소수 그룹이 NCCK를 결정함으로써 에큐메니칼 운동의 생명력이 소멸하는 것을 우려한다”고 전하며 “연대하고 소통하며 에큐메니칼 운동을 활기있게 할 방도를 찾고 그 활기에 힘입어 NCCK 또한 회복해 내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정 목사는 “풀뿌리 에큐메니칼 운동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지역 운동가들의 경제적 어려움에 관한 관심과 방안이 필요하다”고 전하며 “NCCK 총무 사퇴로 어수선하지만 에큐메니칼 운동의 주체는 우리이며 깊고 멀리보며 중심을 잘 잡아야 한다”고 전했다.
다음으로 ‘밑으로부터의 개혁, 청년들의 귀환’ 라는 제목으로 발제를 맡은 하성웅 총무는 “NCCK는 에큐메니칼 신학화 작업과 교육을 위한 공간을 지속적으로 마련해야 하며 장벽을 낮춰 청년의 NCCK와 에큐메니칼 운동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야한다”고 전하며 “지속가능한 에큐메니칼 운동을 위해서는 불확실한 에큐메니칼 생태계를 바꾸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하 총무는 “가치가 있다고 여겨 버티고 있는 기독청년활동들이 자부심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전하며 “이를 위해 에큐메니칼 진영인 NCCK가 정치집단, 형식적인 협의체기구가 아닌 운동단체로서의 정체성을 지켜야 한다”고 전했다.
▲ 하성웅 총무(한국기독청년협의회) © 뉴스파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