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 배광식 한기승 목사의 총회헌법 해설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총회헌법 해설]장로회 정치의 성경적 근거
배광식(울산대암교회) 한기승(광주중앙교회) 목사의 총회헌법 해설
 
배광식/한기승   기사입력  2019/12/10 [23:28]

 

▲ 예장합동 제104회 총회가 열리는 충현교회     ©뉴스파워

 

 헌법은 장로회 정치의 성경적 근거로 구약성경은 출애굽기 3:16; 18:25, 민수기 11:16과 신약성경에서는 사도행전 14:23, 18:4, 디도서 1:5, 베드로전서 5:1, 야고보서 5:14을 제시하고 있다.

찍이 모세와 사도 시대부터 있던 성경적 제도임을 규정하고 있다위 법조문에서정책이란 현대 정치나 행정의 정책(policy)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통치권의 행사방법인 정체(政體, polity)를 의

 미한다.‘성경적 제도라 함은 장로회 정치의 성경적 근거는 교회의 정치 제도가 인간이 택할 수 있는 선택 사항이 아니고 하나님께서 자신의 교회를 세우시는 중요한 정치적 진리임을 규정한 것이다.
 

출애굽기 3:16은 장로회 정치가 인류학적 보편성으로서의 장(자켄)를 정치 제도화 측면을 말해주고, 그때의 장로는원로’ 어른등과 같은 일반적인 의미를 지칭하는 말이다. 출애굽기 18:25은 장인 이드로의 충고로 천부장, 백부장을 세우는 내용으로 모세의 신정정치(神政政治)도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서 대표자를 뽑아 재판하게 하는 대의정치(代議政治)의 원형을 보여주고 있다.

 

민수기 11:16은 다수의 회중들이 지도자 모세에게 불평하며 그 불만을 정치화 했을 때 하나님께서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셨는지를 보 여주는 중요한 본문이다. 하나님 역시 장로 정치라는 대응 방식으로 정치를 제도화 하셨다.

 

장로회 정치의 신약성경적 근거로 헌법이 제시한 사도행전 14:23은 사도 바울이 선교를 하면서 각 교회에 장로들을 택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 사도행전 16:4은 예루살렘 총회의 결정들이 사도와 장로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을(15:4~6, 22~23)뿐만 아니라 전달과 시행이 단순히 모든 평신도들에게 주어진 것이 아니라 사도와 함께 동역한 바울과 디모데 목회자에게 주어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본문이다.

 

디도서 1:5은 왜 장로회 정치가 감독정치를 거부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본문이다. 감독과 장로는 같은 직분의 다른 이름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베드로전서 5:1과 야고보서 5:4은 장로회 정치가 목회의 구조(pastoral structure)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본문이다. 교회 정치는 하나님이 지상 교회에 목회 제도를 두신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배광식 목사/철학박사, 울산대암교회 담임목사

한기승 목사/법학박사, 광주중앙교회 담임목사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9/12/10 [23:28]   ⓒ newspower
 

le

ri

연재소개

전체목록

연재이미지
한평우 목사는 1982년 로마한인교회를 부임하여 지금까지 목회하고 있으며, 1993년 유럽목회연구원을 설립하여 선교사와 목회자들의 영적 재충전을 돕고 있다.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 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