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뉴스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종교활동 시간 많을수록 외로움 극복 비율 높다”
우리나라 성인 4명 중 1명 이상은 외로움 심각한 수준
 
김현성   기사입력  2023/06/13 [20:19]

 

우리나라 성인 4명 중 1명 이상은 외로움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목회데이터연구소(소장 지용근)13미국의 심리학자 다니엘 러셀이 개발한 ‘UCLA 외로움 지수를 통해 조사한 결과, 상담 등 의료적 치료가 필요하거나 당장 조치가 필요한 수준(4단계 중 중고도+고단계 비율)27%로 나타났다.”우리나라 성인 4명 중 1명 이상은 외로움이 심각한 수준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 목회데이터연구소(소장 지용근)가 13일 “미국의 심리학자 다니엘 러셀이 개발한 ‘UCLA 외로움 지수’를 통해 조사한 결과, 상담 등 의료적 치료가 필요하거나 당장 조치가 필요한 수준(4단계 중 중고도+고단계 비율)이 27%로 나타났다.”며 “우리나라 성인 4명 중 1명 이상은 외로움이 심각한 수준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 목회데이터연구소

 

 

국민일보와 피엠아이 공동으로 지난 119일부터 26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일반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모바일조사로 '외로움 척도 지수와 종교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 국민 평균 27%였으며, 종교인은 23%, 무종교인 30%가 외로움을 나타났다. 종교별로는 개신교가 24%, 가톨릭 19%, 불교 22%순이었다.

 

종교활동은 외로움 극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종교인이 무종교인(27%)보다 도움을 준다고 응답한 비율이 63%로 훨씬 높았다. 이는 종교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종교가 외로움 극복에 도움 준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 종교활동은 외로움 극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종교인이 무종교인(27%)보다 ‘도움을 준다’고 응답한 비율이 63%로 훨씬 높았다. 이는 종교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종교가 외로움 극복에 도움 준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 목회데이터연구소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종교가 외로움 극복에 도움을 준다'는 동의율(종교인, 종교활동 시간별%)에서는 일주일 2시간 이하는 56%, 일주일 3~6시간 80%, 일주일 7~10시간 89%, 일주일 12시간 이상 91%였다. 종교인 평균 63%였다.

 

▲ 한국인의 사회적 관계망은, OECD 41개 국가 중 38위로 나타났다. 2022 OECD 자료에 의하면 'OECD 주요국의 사회 관계망 지표('도움이 필요할 때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 응답률, %) 조사 결과 1위는 아이슬란드로 98%, 17위 미국 94%, 26위 독일 90%, 29위 일본 89%, 38위 한국 80%, 41위 멕시코 77%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 목회데이터연구소

한편 한국인의 사회적 관계망은, OECD 41개 국가 중 38위로 나타났다.

 

2022 OECD 자료에 의하면 'OECD 주요국의 사회 관계망 지표('도움이 필요할 때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 응답률, %) 조사 결과 1위는 아이슬란드로 98%, 17위 미국 94%, 26위 독일 90%, 29위 일본 89%, 38위 한국 80%, 41위 멕시코 77%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사회적 고립도지표이기도 한 사회적 관계망측정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 여부를 통해 판단하는데 통계청의 2021년 사회조사 결과에서도 우울할 때 이야기 나눌 사람이 있다몸이 아플 때 집안일을 부탁할 사람이 있다에 대해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80%, 73%2019년 동일 조사 대비 각각 3%p, 7%p 하락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23/06/13 [20:19]   ⓒ newspower
 
광고
광고
광고
인기기사 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