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겨울은 눈이 많이 오는 편이지요. 저는 어릴 때부터 눈이 오면 너무 좋았습니다. 아침에 일어나 보면 하얀 눈이 온 세상을 따뜻한 이불처럼 덮고 있는 듯 보였습니다. 저는 눈이 왔다고 좋아서 난리인데 아버지께서는 “무슨 눈이 이렇게 많이 왔냐”고 투덜거리시며 눈을 치우기에 바쁘셨습니다. 옛날이건 지금이건 눈이 많이 쌓이면 빗자루로 쓸 수가 없습니다. 제가 살았던 고향에서는 ‘당그래’(당거래)라는 기구로 눈을 밀기도 하고 긁어서 당기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해서 눈이 어느 정도 쌓이면 다시 삽으로 퍼서 옮겼습니다. 아버지께서는 가장으로서 눈 치우는 의무감이 많았지만, 저는 의무감 없이 눈을치우는 것도 재미와 즐거움으로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어느 정도 눈을 치우고나면 눈사람도 만들며 신나게 놀았습니다.
▲ 눈 쌓인 산에 올라 무릎 꿇고 기도하는 소강석 목사 © 소강석
|
왜 그랬는지는 몰라도 눈 오는 아침에는 아무 발자국이 없는 곳에 저의 발자국을 제일 먼저 찍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남이 잘 다니지 않는 뒷동산으로 가는 길에다가 저의 발자국을 제일 먼저 찍었습니다. 그리고 어떨 땐 하얀 눈 밭 위에 누워서 실눈을 뜨고 눈부신 햇살을 바라보기도 했습니다. 너무 행복해서였는지 이유 없이 눈물이 날 때도 있었습니다. 철인(哲人)도 아니고 시인도 아니었는데 말입니다. 지금 생각해봐도 이해가 되지 않는 일들입니다. 그런데 이런 추억이 쌓이고 쌓여서, 아니 이런 사건들이 무의식 속에 저장이 되고 되어서 회갑이 넘는 나이에도 눈이 오면 무조건 좋은 듯합니다. 그래서 산행을 하다가도 눈이 녹지 않는 곳을 보면 그렇게 좋을 수가 없습니다. 신이 나서 썰매를 타듯 일부러 미끄러지지요.
눈이 오면 끝없는 설원의 세계를 걷고 싶습니다. 그리고 무조건 시를 씁니다. 그 시는 글로만 쓰는 시가 아니라 마음으로 쓰기도 하고, 눈 위에 발자국을 찍는 것 자체가 저의 시가 되기도 합니다. 이번 목요일 저녁에도 설산을 걷고 또 걸었습니다. 비가 오면 황순원의 소나기 소년이 되고, 눈이 오면 그렇게 좋다가도 문득문득 슬퍼질 때가 있습니다. 그날 저녁에도 산행을 하다 갑자기 슬퍼지는 감정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깊은 밤에 눈밭에서 한동안 누워 있었습니다. 눈 쌓인 벤치에 앉아서 상념에 잠기기도 했고요.
▲ 눈 덮인 산을 오른 소강석 목사 © 소강석
|
그날 밤 슬퍼지는 이유는 어린 시절의 아버지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소년 시절 눈 내리는 어느 날, 제가 가래토가 생겨서 온몸이 불덩이가 되었을 때 아버지가 저를 업고 단숨에 2㎞ 가까이나 되는 범실약방으로 달려가셨습니다. 저를 업고 가시면서 눈이 많이 쌓였다고 한번도 불평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래서 수많은 세월이 흘렀지만 눈 내리는 날에는 아버지가 저를 엎고 달려가는 모습이 보이곤 합니다.
목요일 저녁 산행할 때는 눈이 내리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왜 아버지 생각이 났냐면, 내 발자국보다 먼저 찍힌 발자국이 몇 개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 발자국이 마치 옛날 아버지가 찍어놓은 발자국처럼 느껴진 것입니다. 바로 그 몇 개의 발자국이 저에게는 위대한 시가 되고 추억이 되고 노래가 되었습니다. 그날도 많은 시를 썼습니다. 발자국으로 쓰기도 하고 마음으로 쓰기도 하였습니다. 제가 시를 쓰면 어떤 시를 쓰겠습니까? 마음속에 주님을 향한 에
델바이스를 피워내고 성도들을 향한 목양 연가, 그리고 저를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들을 향한 애상의 연가를 쓰지 않겠습니까?
▲ 눈 덮인 산을 오르는 소강석 목사 © 소강석
|
다시 문득 백암교회를 개척하던 때 무등산 헐몬 수양관에서 쌓인 눈 위에 엎드려 기도하던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그 생각이 나자마자 저는 당장 눈 위에 무릎을 꿇고 기도를 하였습니다. 무릎에 냉기가 들어와 오래 꿇지는 못했습니다. 그래도 잠시라도 ‘주여’를 외치며 통성 기도를 했습니다. 그 모습을 동행하던 박주옥 목사님이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었는데, 사진을 보니
바로 그 모습이 바로 한 편의 시와 같았습니다. 발자국으로 쓴 시보다 눈 위에 무릎으로 쓴 시가 더 아름답게 보였습니다. 그렇다면 저의 젊음의 때는 하나님께 드리는 눈물의 헌시를 많이 썼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눈구덩이 속에서 무릎 자국을 남기며 쓴 시는 더 그렇고요.
책상에 앉아 이 글을 쓰는 순간에도 지난날, 젊음의 순간들이 주마등처럼 스쳐 갑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끝이 보이지 않는 하얀 대지에 저의 시를 남겨놓고 싶은 마음이 가득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