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독교학술원(원장 김영한 박사)은 3일,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에서 제45회 월례기도회 및 발표회를 열었다. © 뉴스파워 범영수 | |
청교도 영성신학자 존 오웬의 성화론을 통해 성화에 모범이 되지 못하고 칭의에 그친 오늘날 한국 교회에 지침을 내리는 시간이 마련됐다.
기독교학술원(원장 김영한 박사)은 3일,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에서 제45회 월례기도회 및 발표회를 열었다.
'존 오웬의 영성'이란 주제로 열린 이번 발표회는 김남준 목사(열린교회)가 발표를 했으며 김홍만 박사(한국청교도연구소)와 이은선 박사(안양대)가 논평을 했다.
김남준 목사는 존 오웬의 인간론 맥락에서의 성화를 설명하며 “그의 신학에 있어 인간론은 창조론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고 말했다. 이는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도록 창조된 자리가 인간의 본래 자리이지만 인간 스스로는 그 자리로 돌아갈 능력이 없기 때문에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은 바로 이런 인간을 다시 제자리로 돌려놓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하나님은 인간을 창조하시며 지상세계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구현하도록 부름을 받았다. 하지만 이런 인간은 하나님의 창조 목적에서 벗어나 타락했고, 존 오웬은 인간의 타락은 곧 인간 자신이 전적으로 무능하고 부패한 인간이 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스스로 자신을 구원할 수 없는 타락한 인간을 위해 하나님은 그 본래의 창조목적으로 돌아가 하나님을 섬기게 하도록 하고 이는 곧 성화와 관련된다.
▲ 김남준 목사(열린교회) © 뉴스파워 범영수 | |
김 목사는 “존 오웬의 신학에 있어 이 주제에 대한 논의는 중생한 신자와 성화와의 관계의 맥락에서 다뤄지며, 중생하지 않은 사람에게 성화를 요구하는 것은 잘못됐다는 것을 여러곳에서 논증했다”고 말했다. 존 오웬은 중생이야말로 모든 성화를 위한 기초가 되며 성령은 중생을 통해 인간 안에 새 생명을 심으신다고 봤다. 김 목사는 “성령께서는 단시 신자에게 이런 기초만 제공하시는 것이 아니라 그 원리 안에서 함께 역사하신다”고 첨언했다.
김 목사는 존 오웬에 대해 “어느 신학자보다도 더 명쾌하게 죄의 본질을 설명한 신학자이다”고 평하며 그의 죄에 대한 해석이 존재론과 윤리론이라는 두 가지 담론으로 이뤄진다고 말했다. 존 오웬은 죄의 개념을 밝힘에 있어 선하신 하나님이 왜 죄를 이 세상에 들어오도록 허락하셨는가 하는 논쟁보다는 죄의 본질적인 개념을 밝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해 가는 신자의 성화 과정에 필요한 논리의 토대들을 구축한다.
존 오웬은 악을 은혜의 결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먼저 외적인 삶에 있어서 영적으로 선한 행위들이 결핍, 내적인 마음에 있어 이런 영적인 선을 가진 행위들을 산출하기 위한 힘의 결핍, 영적 생명의 원리의 결핍 등을 그 요소로 다뤘다. 존 오웬의 성화론은 죄를 어떻게 약화시키고 소멸에 가깝도록 무력화함에 있어 복음과 성령이 어떻게 지혜롭고 능력 있게 작용하는지, 인간은 이의 촉진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보여준다.
김 목사는 존 오웬의 인간론과 관련해 “중생한 신자는 죄의 작용과 은혜의 작용 사이에서 갈등하는 존재이다. 신자 안에 있는 죄는 내재하는 법으로서 반감과 대적으로 역사한다”고 말했다.
김 목사는 “오늘날 우리는 영적으로 보다 생명력 넘치는 복음 사역과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삶을 갈망한다. 그러면서도 시대의 정신을 따라 죄에 대해 너그러운 마음을 갖는다”며 성경적 거룩함이나 경건에 대한 추구 대신 건전하지 않은 신비주의의 영성을 찾게되는 것이 바로 이런 이유임을 지적했다. 김 목사는 “이런 교회의 상황은 목회와 설교의 탈 신학화 현상과 맞물려 교회를 기독교 신앙의 본질로 돌아가지 못하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목사는 “오늘날 종교개혁의 대의인 ‘이신칭의’ 교리가 안일한 구원의 개념을 양산하고 성화에 대한 태만으로 오용되는 질병적 상황에 대한 치유책을 오웬의 성화론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성화를 위한 신자의 소명을 언약 신학 관점에서 봄으로 이미 얻은 구원에 대한 확신을 언약적 헌신을 위한 긴장과 병치시킴으로 성경적 구원을 이뤄가게 한다는 점에서 오웬의 신학은 숙고할 만하다는 것이다.
김 목사는 “부지런히 은혜의 수단에 참여하는 경건의 실천과 삶의 지혜로의 성경적이고 통합적인 기독교사상을 함양하는 것이 죄가 아닌 하나님의 은혜의 지배 아래 살 수 있다”며 발제를 마쳤다.